GIS 40

Qgis 심볼 크기 자동조절, 심볼 크기 고정

필자가 이번에 도면작업을 하다보니, qgis에서 작성한 화살표 모양이 줌인과 줌아웃을 할 때마다 크기 조정이 되고 있었다. 나름 편리한 구석도 있었지만, 보는 화면의 축척에 따라 크기가 각기 달라서 불편함이 있었다. 그래서 해결방법을 검색하고 이래저래 눌러보고 하다가 방법을 찾아내서 기록할 겸 공유한다. 1. 줌인, 줌아웃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것 확인하기 필자와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고, 이것을 해결하려고 하는 것이 맞는지 글을 다 읽기전에 한번 확인하시면 좋겠다. 필자는 아래 그림과 같이, 화면을 확대하고 줄이는 것에 따라 화살표의 크기가 달라지는 것이 문제였다. 보다시피 왼쪽은 봐줄만하지만, 오른쪽은 화살표꼬리는 어디갔는지 삼각형만 남아있기도 했다. 2. 속성-스타일에서 현재 설정값 확인하기 혹시..

Qgis에서 svg로 원하는 형태의 심볼 지정하기

gis나 캐드에서 배경지도의 역할을 할 도면작업을 하고, 어도비 프로그램으로 넘어가 예쁘게 다듬는 작업을 할 때 드는 생각이 있었다. 필자의 경우, 수치지형도를 캐드에서 정리하고 일러스트레이터에서 불러와서 가로수로 표시된 위치에 나무 형태의 도형 또는 이미지를 하나하나 심어(?)줬는데 하다보면 이걸 내가 일일이 해야하나 싶은 생각이 드는거다. 그러다가 이번에는 캐드에서 작업한 도면을 gis로 불러와서 작업을 하였고 좋은 방법을 알게 되어서 공유한다. 예쁘게 도면 작업을 해야하는 상황에 닥치게 된 도시, 조경, 건축 분야의 사람들에게 유익할 수 있을 거같다. 아! 이 방법은 일러스트레이터 활용을 최소화하고 Qgis로 웬만한 도면작업을 하고 싶어서 찾아낸 방법이니 감안하시기를! 일단 이 방법을 요약하자면 다..

Qgis 유효하지 않은 도형 문제 해결하기, 유효하지 않은 도형 수정(버텍스 도구)

'유효하지 않은 도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객체를 건너뛰었습니다. 도형을 수정하거나, 공간 처리 설정을 "유효하지 않은 입력 객체 무시" 옵션으로 변경해주십시오.' 분석을 하다보면 누구나 한번쯤은 봤을 문장이다. 보기에는 멀쩡해 보이는데 뭐가 유효하지 않다는 것인지, 시키는대로 '유효하지 않은 입력 객체 무시'옵션으로 변경을 했는데도 얘는 왜 무시를 못하고 있는지, 또는 무시해버려서 원하는 결과물을 못내고 있는 것인지 이런 답답한 마음에 다들 이 페이지를 보고 계실 것 같다. 필자도 ArcMap을 쓸 때는 본적도 없는 경고문구가 거슬렸고, 옵션을 변경했더니 객체를 다 무시해버려서 원하는대로 분석툴이 먹히지도 않고, 분석진도가 나가지도 않는 것을 경험했다. 그래서 유효하지 않다는 그 도형을 유효하게 만드는..

Qgis로 버퍼(buffer)분석하기(근접분석, 접근성 분석)

특정 시설에 대한 접근성 수준 등을 비교할 때 우리는 종종 버퍼를 활용한다. 버퍼(buffer)는 완충제를 의미하는데, 이런 분석에서 버퍼는 특정 개체로부터 일정 거리 안의 주변을 의미한다. 우리나라말로 하면 반경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역세권, 편세권 등 이런 특정 시설을 이용하기에 편리한가 아닌가 등을 확인할 때 편리하게 쓰인다. 그래서 이번 분석에서는 버퍼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1. 특정 개체 불러오기 역세권 분석을 하고 싶다면 지하철 역을, 편세권 분석을 하고 싶다면 편의점을. 이런 식으로 특정 시설에 대한 데이터를 불러오자. 필자는 그간 계속 분석하던 고등학교를 기준으로 하였다. 고등학교로부터 1km 반경에 대한 버퍼를 설정해보도록 하겠다. 특정 시설에 대한 주소데이터는 있으나 ..

Qgis로 특정 지역 내 포인트 개수 쉽게 구하기

이런 저런 분석을 하다보면, 특정 지역내에 어떤 시설이 몇개 들어 있는지 분석해서 비교해야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도서관에 대한 연구를 한다면, 대상지 지역이 다른 지역에 비해 도서관이 많은지 적은지 확인하기 위해서 다른 지역의 도서관 수와 대상지 지역의 도서관 수를 비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시설이 몇개 없다면 직접 세보면 되지만, 시설이 여러개라면 직접 세는 것에는 무리가 있을 것이다. 이럴 경우 편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여기서는 서울시 내 자치구별 고등학교 수를 알아내도록 하겠다. 1. 지역의 경계 불러오기 필자의 경우, 서울시 내 자치구별 고등학교 수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므로 서울시 자치구 경계를 불러오도록 하겠다. 데이터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에서 받았다. 링크는 아래에..

수치지형도 다운받고 열어보기(AutoCad, QGIS)

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무에서 많이 활용하는 수치지형도를 다운받고 활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수치지형도는 등고선이나 교통망, 시설물, 수계, 산림 등을 전산화한 도면이다. 현재 1: 1000, 5000, 25000, 50000, 250000 축척의 수치지형도를 아래의 링크에서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다. 원래 가장 자세한 1:1000 수치지형도는 무료로 다운받을 수 없었는데 2016년쯤에 무상개방한 것으로 알고 있다. 어쨌든 이래저래 많이 쓰이고 보물같은 데이터니 잘 활용하시면 좋겠다. map.ngii.go.kr/ms/map/NlipMap.do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 선택 선택 map.ngii.go.kr 1. 국토정보플랫폼 국토정보맵에서 회원가입 후, 수치지형도 다운로드하기 위의 링크를 눌러 국토정..

Qgis에서 특정 속성의 데이터만 선택해서 추출하기(특정 시군구 내 데이터만 추출하기)

어떤 대상지를 분석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다운받았는데, 데이터의 범위가 대상지의 범위보다 월등히 커서 불편할 경우가 있을 것이다. 데이터가 많을 경우 무거워서 로딩이 오래걸릴 것이고, 분석 과정도 오래걸릴 것이다. 이럴 경우에는 특정 영역의 데이터만 선택해서 추출해줄 필요가 있는데, 단순히 임의로 대상지와 비슷하게 드래그해서 선택하는 방법말고, 시군구 단위로 선택하거나 특정 속성값으로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데이터는 urbn-ds.tistory.com/19 여기서 활용했던 건축물 데이터와 시군구 경계 데이터를 활용하도록 하겠다. 1. 데이터 불러와서 속성 확인하기 필자는 서울시 전체 건축물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데이터 중, 서울시 중구에 속하는 건축물만 추출하여 활용해야하는 상황이라고 ..

Qgis로 건축물별 노후도 다이어그램 제작하기/ 대상지 현황분석 시각화

도시설계나 건축설계, 조경설계 등을 하다보면, 대상지의 건축물에 대한 다이어그램이 필요할 때가 있다. 대상지 내 건축물의 용도는 어떠한지, 건축물별 노후도는 어떤지 등 필요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시각화하여 패널에 넣어야 한다. 이때 하나하나 확인하면서 일러로 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대상지가 크고 건축물의 수가 많을때는 Qgis를 활용하면 빠르고 편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상지내 건축물이 몇년도에 지어진 건축물인지 색상으로 표현하여 노후도를 시각화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1. 건물통합정보 다운받기 먼저, 건물에 대한 정보를 다운받기 위해 국가공간정보포털 오픈마켓에서 건물통합정보를 검색하여 들어가자. 이 데이터는 건물별 속성정보와 건물공간정보가 함께 들어가있는 보석같은 데이터로 굉장히 많이 쓰인다...

Qgis 데이터 시각화, 단계구분도, 심볼작업하기

앞서 썼던 글(urbn-ds.tistory.com/16 )에서 보이듯이, 지역별로 다른 색상을 입혀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싶을때는 어떻게 해야할까? 이에 앞서 만약 지도데이터와 엑셀데이터를 다운받기만 하고 결합을 하지 않았다면 아래의 글을 참고하기 바란다. 이 글은 지도 데이터 즉, 행정경계의 모양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에 인구 수와 같이 시각화하고 싶은 값이 결합되어 있는 데이터를 만든 후 보면 좋을 것이다. Qgis 지도 데이터와 엑셀 데이터 편하게 결합하는 방법(행정구역코드표 첨부, join 기능) 위와 같이 전국 시군구별 인구현황에 대한 시각화 자료를 만든다고 생각해보자. 필자가 캡쳐한 것과 같이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kostat.go.kr/)를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여기서 제공되지 않는 데 ..

Qgis 시각화 단계 구분 값(필드)이 선택되지 않을 때/필드 유형 변경

Gis에서 단계구분도를 만들기 위해 심볼-단계 구분 값을 선택하려고 하지만, 아래사진에서 체크 된 화살표 모양을 아무리 눌러도 내가 원하는 필드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 보통, 분류값 사용에서는 아래와 같이 필드가 떠서 더 사람 속을 태운다. 필자의 경우에도 심볼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포스팅을 하려는데 저 2020인구 필드가 뜨지 않아서 갑갑해 하며 검색을 해도 답이 안나왔는데 방법을 찾아서 이렇게 공유한다. 1. 문제점 확인하기 먼저 핵심만 설명하자면, 단계구분에서는 필드가 숫자 서식으로 되어 있어야 한다. 즉, 필자와 같이 인구수를 숫자로 입력하였더라도 그 필드가 처음부터 '숫자' 필드가 아닌 '텍스트' 필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qgis는 이를 숫자가 아닌 글자로 받아드려 단계..

Qgis 지도 데이터와 엑셀 데이터 편하게 결합하는 방법(행정구역코드표 첨부, join 기능)

위와 같이 전국 시군구별 인구현황에 대한 시각화 자료를 만든다고 생각해보자. 필자가 캡쳐한 것과 같이 통계지리정보서비스(sgis.kostat.go.kr/)를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여기서 제공되지 않는 데이터를 활용해야하는 경우에는 그럴 수가 없다. 그러니 통계지리정보서비스가 없다고 치고 이런 자료를 만드려면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할까? 먼저 지도 데이터를 다운 받고, 인구현황 데이터를 다운 받을 것이다. 지도 데이터는 shp파일 형태로 qgis에서 불러올 수 있지만, 인구현황 데이터는 엑셀 데이터로 제공 받아 qgis에서 바로 띄울 수가 없다. 따라서 이번에는 shp파일과 엑셀파일의 결합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1. 적절한 지도 데이터 다운받기 시각화 하기 위해서는 지도 데이터와 엑셀데이터가 ..

Qgis 지도 범례 만들기(레이아웃 기능)

Arcmap을 쓰다가 Qgis로 넘어오고나서 느낀 것은 시각화가 더 편리하다는 것이었는데, 그래서인지 더 편하게 레이아웃 작업들을 할 수 있었다. 그중 gis로 시각화를 하고 난 후 결과물을 출력할 때 필요한 범례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때, 저번 지오코딩 관련 글에서 썼던 고등학교 데이터를 활용하도록 하겠다. urbn-ds.tistory.com/10 Geocoding지오코딩_2. Geocoding 활용하기 urbn-ds.tistory.com/9 Geocoding지오코딩_1. Geocoding 프로그램 다운받기 이런저런 데이터를 찾다보면, 데이터를 친절하게 shp파일로 제공하여 Qgis나 Arcmap에서 바로 열 수 있게 제공해주는 경우도 있지만, urbn-ds.tistory.com 1...

Qgis 데이터 라벨링 하기, 원하는 위치로 라벨 이동하기/고정해제하기

Qgis로 데이터를 시각화할 때 종종 사용하는 기능이 라벨링 기능이다. 이를 하다보면 가끔 라벨들이 뭉쳐져 있어 원하는 정보가 눈에 들어오지 않을 때가 있다. 그래서 배치를 바꿔보고 싶지만, 속성에서는 원하는 위치로 임의로 바꿀 수 없게 되어 있어 쉽지않다. 이럴때 활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전국 시군구의 이름을 지도에 표시한다고 생각해보자. 이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할 것은 원하는 정보가 파일에 포함되어 있는가 이다. 만약 속성값을 열었더니 한글이 제대로 읽히지 않는다면 이 포스팅을 확인하자. urbn-ds.tistory.com/12 QGIS 한글깨짐/글자깨짐, 속성값에서 한글 이상하게 뜰 때 (+Arcmap에서 해결법 QGIS에서 데이터 분석을 하고, 내가 보고 있는 데..

Qgis shp파일 dxf로 내보내기

gis 프로그램은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보니, 도면을 그리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래서 gis에서 배경지도를 작업하고, 캐드로 넘어가 도면 작업을 하는 경우들이 많이 있을 것 같다. 필자도 최근에 도면 작업이 필요해 gis에서 보던 shp파일을 캐드에서 열어야 하는 상황에 놓여졌고, 몇번의 시행착오 끝에 좋은 방법을 찾아서 공유하고자 한다. 1. shp 파일 dxf 파일로 내보내기 앞서 몇번 활용했던 실폭도로 파일을 활용하였다. qgis에서 보던 실폭도로 파일(shp파일)을 오토캐드에서 열기위해서는 dwg나 dxf파일로 변환을 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qgis에서 내보내기 기능을 활용해보자. 내보내고 싶은 파일 레이어에서 우클릭을 하면 아래와 같이 뜬다. '내보내기-객체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을 눌..

QGIS 한글깨짐/글자깨짐, 속성값에서 한글 이상하게 뜰 때 (+Arcmap에서 해결법

QGIS에서 데이터 분석을 하고, 내가 보고 있는 데이터가 어떤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다 보면 가끔 멀쩡한 한글이 이상하게 나와서 당황스러울때가 있다. 데이터 안에 1~2개의 정보만 있다면 외우겠지만, 서울시 내 모든 행정동의 이름과 같이 몇십개가 넘는다면, 이런 상황이 참 불편하다. 그럴 때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Arcmap보다 쉽게 할 수 있으니 해보자. 1. 한글이 이상하게 입력된 것 확인하기 전국 시군구의 경계 데이터를 다운 받고 QGIS에서 열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은 사진이 우리가 겪게 되는 당황스러운 상황일 것이다. SIGUNGU_NM에서 내가 선택한 지역의 이름이 무엇인지 나와줘야 하는데, 이상한 도형과 웬 한자로 알아볼 수가 없다. (이렇게 선택한 부분의 정보를 바로바..

728x90
반응형